목록전체 글 (17)
Road to 개발자
[인프런] 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 (백기선)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 입니다 @Autowired 생성자 - 빈 클래스에 생성자가 하나이고 빈 등록되어있는 매개변수가 있으면 자동으로 의존성주입 해줌. + lombok @RequiredArgsContstructor 사용 (선언만으로 생성자가 자동으로 생김) private final TempService tempService; 필드 Setter
[인프런] 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 (백기선)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 입니다 빈 : 스프링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객체 등록 방법 1. Component Scanning - @Component @Controller @Service @Repository - @Bean 2. 직접 xml이나 설정 파일에 등록 사용 방법 1. @Autowired 또는 @Inject 2. ApplicationContext에서 getBean()으로 직접 꺼내기
[인프런] 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 (백기선)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 입니다 IOC 컨테이너 : 빈을 만들고 관리해줌. - ApplicationContext (BeanFactory)
[인프런] 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 (백기선)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 입니다. 제어의 역전 : 제어가 바뀜. - 제어권이 개발자에게 있는 경우 "내가 쓸 놈은 내가 만들어 쓸게..." (일반적인 의존성에 대한 제어권) class TempController { private TempService tempService = new TempService(); } - 제어권이 바뀐 경우 (제어권이 나 자신이 아닌 다른 누군가가 가지고있음.) "내가 사용할 놈(tempService)은 이 놈인데... 누군가 알아서 주겠지...." (IOC) class TempController { private TempService tempService; public TempController(TempService tempServi..